본문 바로가기
일상 꿀팁!

[1분!] 울릉도 가는 법, 탈출하는 법 A to Z! (+긴급 탈출 방법)

by 오리는 꽥 2023. 3. 31.
반응형

울릉도 가는 법에 대해 전해드릴게요.

 

인스타를 보다가 울릉도 여행에 대한 낭만이 생겨버려서 울릉도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데요. 어떻게 입도해야 하고, 여행지로 어딜 가면 좋을 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1. 울릉도 가는 방법 (배편)
2. 울릉도 가는 배 예약하는 방법
3. 날씨에 따라 배편이 취소될 수 있나요? 

 

울릉도 가는 방법 (배편)

울릉도는 배를 타야만 갈 수 있는 곳이에요. 포항, 후포, 묵호, 강릉 총 4곳에서 출발하는 배편이 있죠. 

경상북도 포항 여객선터미널
운항사 소요시간 편도 요금 (주중/주말)
대저해운 엘도라도호 약 3시간 30분 68,500원 / 75,200원
대저해운 썬라이즈호 68,500원 / 75,200원
태성해운 우리누리호 68,500원

 

울진 후포항 여객선 터미널
운항사 소요시간 편도 요금 (주중/주말)
제이에이치페리 씨플라워호 약 2시간 30분 60,500원 / 67,500원

 

강원 묵호항 여객선 터미널
운항사 소요시간 편도 요금 (주중/주말)
씨스포빌 씨스타 1호 약 2시간 40분 61,500원 / 67,350원
씨스포빌 씨스타 3호 약 2시간 50분

 

강원 강릉항 여객터미널
운항사 소요시간 편도 요금 (주중/주말)
씨스포빌 씨스타 5호, 11호 약 3시간 61,000원 / 67,100원

 

 

 

울릉도 가는 배 예약하는 방법

울릉도로 향하는 배를 탈 곳을 정했다면 운항사를 검색해보세요. 씨스포빌, 에이에이치페리 등을 말이죠.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메인 페이지에 예약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요. 만약 강릉항까지 셔틀버스를 이용하고 싶다면 [클룩]을 사용해보세요.

 

수도권에서 강릉항까지 운영하는 셔틀버스 예약이 가능하고, 강릉과 묵호 그리고 후포항에서 출발하는 왕복 배표를 예약할 수 있다고 해요. 

 

울릉도 내부 교통편

울릉도로 향하면 차량이 없으면 아무래도 불편하긴 해요. 긴 시간 머무는 게 아니라면 더욱 힘든데요. 버스, 택시, 렌트카, 관광버스, 스쿠터 중 선택을 하라고 하면 저는 상황에 따라 렌트카나 스쿠터를 선택하려고요.

 

아무래도 혼자 다니는 여행을 즐기기 때문에 울릉도의 자연을 느끼기에 더 적합하다고 생각했는데요. 하지만 2인 이상이라면 무조건 렌트카죠. 참고로 [클룩]을 통해 렌트카도 이용할 수 있어요. 물론 카카오T같은 걸로도 예약이 가능하니 참고해주세요. 

 

투어는 어때요?

투어는 제 여행 성향과 맞지 않아서 이용하지 않는 편이에요. 여러명이서 몰려다니는 걸 좋아하지 않거든요. 하지만 본인 성향에 맞다면 당연히 훌륭한 선택지일거에요. 숙식 및 교통 걱정없는 여행이라면 최고의 선택이 아닐까요?

 

 

 

날씨에 따라 배편이 취소될 수 있나요?

만약 기상이변으로 배 시간이 변동되거나 통제될 경우 선사에서 연락이 온다고 해요. 울릉도는 가는 것도 어렵지만 나오는 것도 어렵다는 말이 있는데요. 기상 상황에 따라 출발이 무기한 연장되는 경우도 있다고 해요. 

 

날씨는 맑지만 바다의 상황은 맑음이 아닐 수 있다고 해요.

 

울릉도 여행 시 긴급탈출하는 방법

배편이 밀리는 일이 생겼다면 긴급탈출을 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하는 게 있어요. 

  1. 아침 9시가 되면 터미널에 있는 취소표 대기 명단에 이름을 적고 기다려야 해요.
  2. 배 출항 시간 30분 전에 돌아와 이름이 불리길 기다려야 해요.

배 시간이 밀리게 되면 누군가 취소하는 자리표를 먼저 차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데요. 몇몇 분들은 아침 6시부터 나와 기다리기도 한다고 해요. 

 

[필독!] 내가 떠나기 전날 배편이 밀린다면?

울릉도는 내가 떠나는 날의 배가 안밀렸다고 안심할 수 없다고 해요. 울릉도를 떠나는 전날의 배편이 취소되거나 뒤로 밀렸다면 전체 일정이 하루씩 밀리지는 않는 지 알아봐야 해요. 이렇게 된다면 강제로 하루 더 기다려야 하는 경험을 할 수 있어요. 

 

그렇기에 운항 취소 소식을 접했다면 선사에 문의해서 확인한 뒤 조치를 하길 바라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