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꿀팁!

여름이면 조심해야 하는 냉방병 증상과 치료방법 타이레놀로 해결될까?

by 오리는 꽥 2021. 7. 28.
반응형

요즘은 기본 37도 정도가 넘는 것 같은데요. 예로부터 '여름 감기가 무섭다'라는 말이 있죠. 현대에는 성능이 좋은 에어컨 덕분에 실내가 서늘하고, 때로는 긴 팔 옷을 필요로 하는데요. 이 '여름 감기'는 우리가 흔히 냉방병이라는 것을 시작으로 오게 돼요.


냉방병은 냉방 중인 사무실, 집 등에서 오랜 시간 머물 때 나타나는 가벼운 감기, 두통, 인후통, 근육통, 소화불량 같은 임상증상을 지칭하는 용어인데요. 엄밀한 의미에서 의학 용어는 아니라고 해요!


냉방병 원인으로는신체 기능이 여름 온도에 적응된 상태에서 지나치게 차가운 한랭 환경이 오랫동안 지속될 때 우리 몸이 기온 차이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한 것이 꼽혀요.


실내외 온도 차가 5 ~ 8'c 이상 되는 환경에 오래 노출되면, 말초혈관의 급속한 수축을 동반한 혈액 순환의 이상 및 자율신경계 기능의 변화 등이 발생해 냉방병 증상이 나타나는데요. 특히, 고혈압, 당뇨병, 심폐 기능 이상, 관절염 등 만성 질환이 있는 사람들이 냉방병에 취약한 편이에요.

 

 

📌 목차
1️⃣ 냉방병 증상
2️⃣ 냉방병 치료방법
3️⃣ 냉방병 인후통 타이레놀로 해결할 수 있을까?

 

썸네일
썸네일

 

>>> 냉방병 증상

 

 

 

📌 호흡기 증상
냉방병은 감기와 비슷한 증세가 많은데요. 두통이나 콧물, 재채기, 코막힘의 증상을 주로 호소하며 감기에 한 번 걸리면 잘 낫지 않는다고 해요. 요즘같이 코로나가 있는 시기에는 더욱 조심해야겠죠??

또, 몸이 나른하고 쉽게 피로해지며 두통이 흔해지는데요. 손발이 붓거나 어깨와 팔다리가 무겁고, 허리나 무릎, 발목 등의 관절이 무겁게 느껴지며 심할 때는 통증이 느껴질 수 있다고 해요.



📌 만성 질병의 약화
이미 만성 질병을 가지고 있다면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 상태이기에 냉방병 영향이 더 심할 수 있습니다.

 

 

📌 여성
호르몬 이상 때문에 생리가 불규칙해지기도 합니다.



📌 위장 장애
장운동이 변화하여 소화불량, 복통, 설사 등 다양한 위장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그외
혈류의 변화로 인해 얼굴과 손, 발 등에 냉감을 느끼고, 얼굴이 화끈거리고, 가슴이 두근거리기도 합니다. 체내에서 열을 보충하기 위해 계속 열을 생산하기 때문에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며 일부는 잘 낫지 않는 감기 증상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여자-얼음-산
냉방병

 

>>> 냉방병 치료방법

 

📌 냉방병 증상이 경미한 경우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특별한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해요. 냉방 기구 사용을 중단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한 뒤 휴식을 취하면 호전될 수 있는데요. 하지만 고열, 기침, 근육통 등의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병원에 가야겠죠?? 게다가 요즘은 코로나가 의심될 수 있으니 꼭 주의해야 해요.

 

 

📌 냉방병 치료방법
대부분의 냉방병 증상은 냉방 환경을 개선하면 나아지는데요. 정도가 심해 일상생활이 불편해진다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약물 치료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해요. 고열, 기침, 근육통 등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코로나나 레지오넬라증 같은 다른 질환과 감별하기 위해서 병원에 가야 해요.

 

 

📌 주의사항
온도의 변화에 대한 신체 조절 능력은 5'c 내외라고 하는데요. 그렇기에 실내와 외부의 온도차를 5'c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고, 아무리 더워도 온도 차이가 8'c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해요. 일반적으로 현재 외부 온도가 약 30도에서 37도이니 내부 온도는 약 6도 정도 낮춘 24도에서 31도 정도가 적당할 것 같네요.

 

에어컨-적정온도
에어컨

 

>>> 냉방병 인후통 타이레놀로 해결할 수 있을까?

 

 

 

냉방병 관련 글을 쓰려고 하다 보니 눈에 띄는 키워드가 있었는데요. 냉방병을 타이레놀로 치료할 수 있냐는 내용이었어요. 글 내용들을 보면 냉방병이 심해 두통, 고열 등이 있을 경우 진통제의 도움을 받으면 좋아질 수 있다고 해요.


인근 약국에 물어본 결과 진통제의 경우 소염과 해열 진통제로 나뉘는데 타이레놀은 소염효과는 거의 없고, 해열 진통제의 역할을 해준다고 해요. 그래서 냉방병 증상이 있을 경우에 타이레놀을 먹으면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요.


제 의견은 그냥 인근 내과 병원에 방문하는 걸 권해드려요. 요즘 같은 때에는 특히 코로나 때문에 조심해야 하기도 하고, 냉방병 증상이 있는 본인이 의사가 아니라면 정확한 진단을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해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