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꿀팁!

[비상!] 의외로 잘못 알고 있는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

by 오리는 꽥 2022. 10. 31.
반응형

의외로 잘못 알고 있는 지진 발생 시 행동 요령들에 대한 오해를 풀며, 올바른 내용들을 전해드릴게요. 

 

지진이 발생하는 일이 굉장히 적기에 많은 분들이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데요. 모르는 것도 문제인데 잘못 알고 있는 것들도 꽤 많다고 해요. 

 

지진에 대한 행동 요령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해야 하는데요. 지진에 대한 평소 대비, 지진 발생 시 행동 요령, 지진 대피 후 행동요령으로 구분해서 아래 내용을 읽고 가족, 친구, 동료 등 주변분들에게도 공유해주시길 바라요. 

 

한국에서도 간간히 지진이 계속되고 있으니 모두가 알고 있어야 하는 내용이에요.

썸네일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

지진 규모 진도 뜻 차이, 지진 리히터 규모에 따른 피해 정도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 - 평소 대비

가정, 재산, 목숨을 지키고 싶다면 평소 대비가 가장 중요할 수 있어요. 

 

지진 발생 평소 대비 4가지

지진이 발생했을 경우를 대비해서 크게 4가지를 조심해야 하는데요. 어려운 건 아니에요. 평소 비상용품을 잘 준비해두고, 평상시 가족들과 회의를 통해 위급 상황에 대비를 하고, 집을 안전하게 관리하며, 집 안에 안전을 확보하고, 집 아네 떨어지기 쉬운 물건을 고정하는 거예요.

 

1. 위급상황을 대비한 비상용품

지진이 발생했을 경우를 대비해 비상용품을 구비해두고 보관장소와 사용법을 공유하세요. 통장이나 귀중품, 응급처치 도구, 소화기 등이 해당될 수 있어요.

 

2. 가족회의를 통한 위급한 상황에 대비

어떤 가정은 누군가 한 명이 집안일을 하고 있어서 집 내부 시설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도 있는데요. 예를 들어 가스나 전기를 차단하는 방법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해요. 또, 위험 상황에 대피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을 확보하며 비상연락망 등을 공유하세요.

 

3. 집 관리

가구나 가전제품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고 떨어질 수 있는 물건은 높은 곳에 두지 않도록 해요. 특히 그릇장같은 것들은 깨지기 쉬우니 문을 잘 고정해줘야 해요. 그 외에 가스 및 전기 점검, 건물 균열 수리 등을 통해 피해가 더 커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해요.

 

4. 집에서 더 조심하기

집이라고 안심해서는 안되는데요. 정말 생각하지 못했던 가구나 기구들이 쓰러져서 다치는 경우도 있어요. 특히 깨진 무언가를 밟고 다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니 조심하세요.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 - 지진 발생 시

1. 머리를 보호하기

 

가장 먼저 해야 할 건 당장 머리를 보호하는 거예요. 지진이 발생하고 크게 흔들리는 건 길어야 2분 정도라고 하는데요. 이 시간을 일단 버텨야 하기 때문에 탁자 아래로 향하거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걸로 머리를 보호해주세요. 

 

2. 신발 신고 가스와 전기 차단하기

다음으로는 신발과 가까운 분은 신발을 먼저 신고 가스와 전기를 차단해주세요. 반대로 해도 상관은 없어요. 이때 신발을 먼저 신는다면 문을 열고 출구를 확보해주세요. 

 

3. 밖으로 나가기

엘레베이터가 아닌 계단으로 이동하며 건물이나 담장으로부터 떨어져서 이동하세요. 이때도 항상 머리를 보호해주고 낙하물이 없는 넓은 공간으로 대피해주세요. 

 

4. 라디오나 공공기관 방송 확인하기

혹시 모를 허위정보에 속지 말고 라디오나 공공기관의 안내 방송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참고해주세요. 

 

현재 위치에 따른 대피 요령
  • 만약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었다면 최대한 빨리 내리세요. 
  • 만약 차량을 타고 있었다면 도로 중앙 부분을 비워두고 열쇠를 놓아둔 채로 잠그지 않고 이동하세요.
  • 만약 산이나 바다에 있다면 긴급대피장소 등 높은 곳으로 대피하세요.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 - 지진 대피 후

 

지진 대피를 완료했다면 가족이 모두 있는 지 부상은 없는지 확인해보세요. 이후 주변인과 협력하고 라디오나 공공기관의 정보에 따라 귀가 여부를 판단해야 해요. 

 

다시 무사히 돌아왔다면 피해 상황을 확인하고 해결해야 하는데요. 전기, 가스, 건물 손상들을 확인하고 확실히 수리해야 해요. 특히 피해 상황을 확인할 때 추가로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고 하니 유의하시길 바라요. 

 

만약의 상황을 위해 라디오를 따로 구비하던, 스마트폰 라디오 사용방법을 알고 계시던 하나 정도는 당장 실행하시길 바라요. 참고로 라디오는 데이터가 필요 없는 작업이니 안심하시길 바라요.

 

위 내용들은 응급 상황에 반드시 필요한 정보들이니 주변인들에게 공유해주시길 바라요. 

반응형

댓글